'#전쟁'에 해당되는 글 4건
- 2019.07.18 '밴드 오브 브라더스 후속작' 퍼시픽 < The Pacific , 2010 >
- 2019.07.13 밴드 오브 브라더스 < Band of Brothers , 2001 >
- 2016.05.30 [리뷰] 전투요정 유키카제 < 戦闘妖精・雪風 , 2002 >
- 2016.05.08 [리뷰] 오다 노부나의 야망 < 織田信奈の野望 , 2012 > (2)
★자리의 감성 리뷰 미국 드라마 TV-Serise 부문 : '밴드 오브 브라더스 후속작' 퍼시픽 ( The Pacific , 2010 ) 원문 : ★자리의 달콤한 꿈 이야기 글 : 별자리 | 이미지 : '밴드 오브 브라더스 후속작' ( The Pacific , 2010 ) |
《The Pacific》은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의 제작자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와 톰 행크스(Tom Hanks), HBO가 만든 2010년작 드라마로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했던 미국 해병대를 다룬 작품이며 유진 슬레지(Eugene Sledge)의 저작인 〈With the Old Breed: At Peleliu and Okinawa〉와 로버트 레키(Robert Leckie )의 〈Helmet for My Pillow〉 및 실제 명예 훈장(Medal of Honor) 수훈자인 존 바실론(John Basilone)의 일대기를 기초로 제작되었습니다.
|
제 목 | 퍼시픽 ( 2010 년 ) |
원 제 | The Pacific |
분 류 | 드라마 ( 미국 ) |
편 성 | HBO |
장 르 | 전쟁 | 역사 | 시대극 |
제 작 | 톰 행크스 | 스티븐 스필버그 | 게리 고츠먼 | 토니 토 | 유진 켈리 | 그레이엄 요스트 | 부르스 C. 맥케나 | 팀 반 패튼 | 데이빗 너터 제레미 포데스와 | 칼 프랭클린 | 조지 펠레카노스 | 미셸 애시포드 | 로버트 쉔컨 | 로렌스 안드리스 |
구 분 | TV - Serise |
총화수 | 53 분 (평균) × 10 부작 |
제작국 | 미합중국 ( United States of America ) |
방영일 | 2010' 03. 14 ~ 2010' 05. 16 |
등 급 | 18 세 관람가 |
사이트 |
|
세계 2차 대전 태평양 전선에서 일어나는 과달카날 전투, 남태평양 팔라우에서 글라우세스터봄, 이오지마와 오키나와 전투에서 V-J day(Victory over Japan Day)까지 배경으로 한 미 해병대의 활약상을 담은 드라마
관련 및 연계 홈페이지 링크 | |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Band of Brothers ) 리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전쟁 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 리뷰 |
|
STAFF | |||
스티븐 스필버그 ( Steven Spielberg ) Executive Producer
영화감독 데뷔 : 1959년 영화 'The Last Gun' 연출 캣츠 ( 2019 ) 테라노바 ( 2011 ) | 톰 행크스 ( Tom Hanks ) Executive Producer
영화배우, 영화감독 데뷔 : 1980년 영화 '어둠의 방랑자’ 캘리포니아 타이프라이터 ( 2019 ) 라이언 일병 구하기 ( 1998 ) | ||
게리 고츠먼 ( Gary Goetzman ) Executive Producer
영화배우, 영화감독 노츠 프롬 더 필드 ( 2018 ) 맘마미아! 2 ( 2018 ) | 토니 토 ( Tony To ) Co-Executive Producer, Director
영화감독, PD 태평양 ( 2010 ) 하우스 ( 2006 ) | ||
그레이엄 요스트 ( Graham Yost ) Co-Executive Producer, Writer, Director
시나리오작가 라스트 캐슬 ( 2002 ) 하드 레인 ( 1998 ) | 브루스 C. 맥케나 ( Bruce C. McKenna ) Co-Executive Producer, Writer
저술가 Accident Proof Your Life ( 2014 ) The Pena Files: One Man's War Against Federal Corruption and the Abuse of Power ( 1996 ) | ||
팀 반 패튼 ( Tim Van Patten ) Director, Supervising Producer
PD, 영화배우 보드워크 엠파이어 2 ( 2011 ) 왕좌의 게임 1 ( 2011 ) | 데이빗 너터 ( David Nutter ) Director
영화감독, PD 왕좌의 게임 5 ( 2015 ) 안투라지 시즌 7 ( 2010 ) | ||
제레미 포데스와 ( Jeremy Podeswa ) Director
영화감독 보르지아 1 ( 2011 ) 퓨저티브 피스 ( 2007 ) | 칼 프랭클린 ( Carl Franklin ) Director
영화감독, 영화배우 루머의 루머의 루머 시즌 1 ( 2017 ) 블레스 미, 울티마 ( 2012 ) | ||
조지 펠레카노스 ( George Pelecanos ) Writer, Co-Producer
드라마제작자, 드라마작가 트레메 4 ( 2013 ) 더 와이어 시즌 1 ( 2002 ) | 미셸 애쉬포드 ( MICHELLE ASHFORD ) Writer, Co-Producer
각본가 마스터스 오브 섹스 ( 2013 ~ 2016 ) 에이 티 에프 ( 1999 ) | ||
로버트 쉔컨 ( Robert Schenkkan ) Writer, Co-Producer
영화배우, 시나리오작가 핵소 고지 ( 2017 ) 스파타커스 ( 2004 ) | 로렌스 안드리스 ( LAURENCE ANDRIES ) Writer
PD, 시나리오작가 수퍼내추럴 시즌 3 ( 2007 ) 메디컬 인베스티게이션 ( 2004 ) |
출 연 진 ( CAST ) | ||||||
제임스 뱃지 데일 ( James Badge Dale ) 로버트 ‘밥’ 레키 ( Pfc. Robert Leckie ) 일등병 역
영화배우 루비콘 ( 2010 ) 블랙 도넬리스 ( 2007 ) | ||||||
키스 놉스 ( Keith Nobbs ) 윌버 ‘버드 러너’ 컨리 ( Pfc. Wilbur ‘Runner’ Conley ) 일등병 역
영화배우 퍼블릭 모럴스 ( 2015 ) 더 배드 가이즈 ( 2014 ) | ||||||
제이콥 피츠 ( Jacob Pitts ) 빌 ‘후시어’ 스미스 ( Bill ‘Hoosier’ Smith ) 일등병 역
영화배우 데뷔 : 1999년 드라마 'Strangers with Candy' 저스티 파이드 6 ( 2015 ) 21 ( 2008 ) | ||||||
조쉬 헬먼 ( Josh Helman ) 루 ‘처클러’ 저겐스 ( Lew ‘Chuckler’ Juergens ) 일등병 역
영화배우 언더토우 ( 2018 ) 플레쉬 앤 본 ( 2015 ) | ||||||
애쉬튼 홈즈 ( Ashton Holmes ) 시드니 ‘시드’ 필립스 주니어 ( Pfc. Sidney Phillips ) 일등병 역
영화배우 데뷔 : 2002년 드라마 'One Life to Live' 액츠 오브 바이올런스 ( 2018 ) 리벤지 1 ( 2011 ~ 2012 ) | ||||||
윌리암 새들러 ( William Thomas Sadler ) 대대장 루이스 체스티 풀러 ( Lewis Burwell ‘Chesty’ Puller ) 중령 역
영화배우 데뷔 : 1975년 연극 '이바노프’ 파워 시즌 5 ( 2018 ) 트래블러 ( 2007 ) | ||||||
존 세다 ( Jon Seda , Jonathan Seda ) 존 바실론 ( Sgt. John Basilone ) 중사 역
영화배우 데뷔 : 1992년 영화 '금지된 사랑' 시카고 PD 시즌5 ( 2017 ~ 2018 ) 트레메 4 ( 2013 ) | ||||||
조셉 마젤로 ( Joseph Mazzello ) 유진 ‘슬레지해머’ 슬레지 ( Pfc. Eugene Sledge ) 상병 역
영화배우 보헤미안 랩소디 ( 2018 ) 언드래프티드 ( 2016 ) | ||||||
라미 말렉 ( Rami Malek ) 메리엘 ‘스내푸’ 쉘튼 ( Cpl. Merriell ‘Snafu’ Shelton ) 상병 역
영화배우 미스터 로봇 시즌3 ( 2017 ) 24 시즌 8 ( 2010 ) | ||||||
마틴 맥캔 ( Martin McCann , Martin Stephen McCann ) 로무스 발튼 ‘버기’ 버긴 ( R.V. Burgin ) 병장 역
영화배우 쓰리 세컨즈 ( 2018 ) 로스트 인 런던 ( 2017 ) | ||||||
스콧 깁슨 ( Scott Gibson ) 앤드류 ‘액액’ 할데인 ( Capt. Andrew Haldane ) 대위 역
영화배우 A Very Merry Mix-Up ( 2013 ) 브리치 ( 2007 ) | ||||||
조쉬 비턴 ( Josh Bitton ) J.P. 모건 ( Sgt. J.P. Morgan ) 병장 역
영화배우 One Dollar ( 2018 ) 내셔널 트레져 ( 2004 ) | ||||||
개리 스위트 ( Gary Sweet ) 엘모 ‘거니’ 헤이니 ( Sgt. Elmo ‘Gunny’ Haney ) 중사 역
영화배우 Wake in Fright ( 2017 ) Police Rescue ( 1989 ~ 1996 ) | ||||||
클레어 반 더 붐 ( Claire van der Boom ) 스텔라 카라마닐리스 ( Stella Karamanlis ) 역
영화배우 게임 오브 사일런스 ( 2016 ) 씨티 호머사이드 5 ( 2011 ) | ||||||
캐롤라인 다버나스 ( Caroline Dhavernas ) 베라 켈러 ( Vera Keller ) 역
영화배우 이지 리빙 ( 2017 ) 한니발 시즌 3 ( 2015 ) | ||||||
애니 퍼리스 ( Annie Parisse , Anne Marie Cancelmi ) 레나 바실론 ( Lena Riggi Basilone ) 역
영화배우 위기의 친구들 ( 2017 ) 팔로잉 ( 2013 ) |
|
회 차 | 부 제 ( SUBTITLE ) / 에피소드 ( EPISODE ) | |||
01. 제 1 화 | Guardalcanal / Leckie ( 과달카날 : 에스파냐 안달루시아 자치지역 서부 세비야주에 속한 도시 / 레키 ) | |||
레키와 필립스는 과달카날에 상륙한다. | ||||
02. 제 2 화 | Guardalcanal / Basilone ( 과달카날 / 바실론 ) | |||
바실론과 7 해병대는 과달카날에 도착한다. | ||||
03. 제 3 화 | Melbourne ( 멜버른 : 호주 도시 ) | |||
레키, 바실론 그리고 수천 명의 동료들이 멜버른에 상륙한다. | ||||
04. 제 4 화 | Gloucester / Pavuvu / Banika ( 글로스터 : 영국 도시 / 파부부 : 러셀 제도의 섬 / 반키아 : 솔로몬 제도의 섬 ) | |||
해병대가 새로운 적과 싸울 때 레키는 질병에 걸린다. | ||||
05. 제 5 화 | Peleliu Landing ( 펠렐리우 상륙 : 팔라우 제도의 섬 ) | |||
슬레지는 펠렐리우에서 첫 전투를 맛본다. | ||||
06. 제 6 화 | Peleliu Airfield ( 펠렐리우 비행장 ) | |||
슬레지, 레키 그리고 다른 해병들은 펠렐리우 비행장 점령을 시도한다. | ||||
07. 제 7 화 | Peleliu Hills ( 펠렐리우 언덕 ) | |||
해병대는 끝까지 항전을 결의한 적과 펠렐리우 전투를 계속하고 있다. | ||||
08. 제 8 화 | lwo Jima ( 이오지마 : 일본 도쿄도 남쪽 해상 오가사와라 제도 중앙의 화산섬 ) | |||
바실론은 전투를 준비 중인 해병대를 훈련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설득했다. | ||||
09. 제 9 화 | Okinawa ( 오키나와 : 일본 오키나와 현 지명 ) | |||
슬레지와 제1해병사단은 육군 사단을 구제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 ||||
10. 최 종 화 | Home ( 고국 ) | |||
일본군 항복 후 해병대는 본국으로 향한다. |
|
|
이 글은 헤살과 주관적인 견해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드리며 모든 포스팅은 개개인의 시각차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해석과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하고, 현재 기록된 정보는 2019년 07월 기준임을 알립니다.
분할된 사진에 한해 클릭하면 확대되며 또 다른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와 함께 합니다. 혹 하단 링크 이미지에 문제가 발생하면 'F5' 를 눌러 새로 고침해주세요. 또한 이 블로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최적화 되어 있어 모바일을 포함한 다른 플랫폼에서는 화면 상태가 고르지 못할 수 있습니다.
《퍼시픽》은 《밴드 오브 브라더스》 제작진이 9년 만에 뭉쳐 제 2차 세계대전 종전 55주년을 기념해 제작한 대서사미니시리즈이며 2010년 제 62회 에미상 시상식에서 미니 시리즈 부문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에미상 < Emmy Award > 미국 텔레비전계 최고의 상이다. 미국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ATAS)에서 설립했으며, 1949년 1월 25일에 초대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텔레비전 산업에 여러 방송부문이 있는 만큼 시상식 또한 다양한 부문으로 나누어 연내 다양한 시기에 개최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시상식은 프라임타임 에미상과 데이타임 에미상 시상식이며, 흔히 말하는 ‘에미상’은 프라임타임 에미상을 말한다. 앞선 두 시상식 외에 스포츠 에미상, 뉴스 다큐멘터리 에미상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미국 외 텔레비전 작품을 대상으로 한 국제 에미상도 있다. 여러 에미상 시상식의 주최는 미국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ATAS) 뿐만 아니라 미국 국립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NATAS)와 국제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IATAS) 등에서도 주최한다. |
《밴드 오브 브라더스》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유럽전선에서 맹활약했던 제101공수사단 병사들의 이야기를 다뤘다면 《퍼시픽》은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했던 미국 해병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국내는 물론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최고의 전쟁 드라마로 칭송받았던 《밴드 오브 브라더스》의 명성을 이을 2010년 신작으로 기대치가 높았으나 흥행은 전작에 미치지 못하고 주저앉고 말았습니다.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태평양 전쟁 , 아시아-태평양 전쟁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아시아-태평양 전구와 남서 태평양 전구, 동남아시아 전역 등을 비롯한 태평양 일대의 넓은 지역과 중국, 그리고 만주 일대가 태평양 전쟁의 전역 범위에 해당한다. 중화민국과 일본 제국 사이의 중일 전쟁은 1931년 9월 19일 만주사변을 시작으로 1937년 7월 7일 발발했다. 그러나 1937년 7월 중국과 일본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으나 이 때 당시 중국 홀로 일본에 맞서 싸우고 있었으며 일본에는 선전 포고를 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1941년 12월 9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 이후 중국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태평양 전쟁의 발발 시기는 일본 제국이 타이, 영국령 말라야와 싱가포르, 홍콩을 침공하고 미군 기지인 진주만과 웨이크 섬, 괌, 필리핀에 공격을 가한 1941년 12월 7일 또는 8일로 보고 있다. 태평양 전쟁은 연합국이 태국과 추축국인 나치 독일 및 이탈리아 왕국의 지원을 받는 일본 제국과의 전쟁이었다. 전쟁은 미국 공군의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와 일본 본토 공습, 그리고 1945년 8월 8일 소비에트 연방의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을 유도했다. 공식적인 일본의 항복은 1945년 9월 2일 도쿄 만의 USS 미주리 (BB-63)에서 진행되었다. 일본군의 패배 이후 일본의 왕은 신이 아닌 인간 취급을 받았다. 전쟁 이후 일본의 지배 하에 있던 한반도와 타이완을 비롯한 식민지들이 독립하였고, 일본이 점령한 중국 대륙의 영토는 중화민국에 반환되었으며, 일본이 점령했던 태평양 지역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연합국이 재점령하거나 국제 연합의 신탁통치령이 되었다. 소련 또한 일본이 점령하고 있던 남사할린 지역과 쿠릴 열도를 병합하였다. |
세밀한 전투 묘사로 각광받았던 분대단위 전투형식과 평균 상영시간의 차를 제외한 분량, 다큐멘터리적인 요소는 전작을 계승하고 더 나아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를 회상하는 톰 행크스(Tom Hanks) 배우 겸 감독님의 내레이션을 가미해 비참하고 치열한 전쟁 속 영웅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재현해 내려했던 노력과 전작보다 많은 2억 달러 이상의 제작비를 투입한 결과치고는 아쉬운 성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지역 자체가 협소한 섬이라서 시야가 트이지 않아 답답함이 느껴지고 고온다습한 열대기후와 전염병과 질병이 창궐하는 이질적인 환경의 반영, 상식을 벗어난 일본군의 자살공격과 게릴라전술로 전의를 상실해가는 미군을 너무나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격정과 고통이 수반되다보니 채널고정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유럽전선에 비해 생소했던 태평양전쟁이 배경으로 낙점된 탓에 흥행에 실패했다는 추측은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 주장이라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전작의 향수를 떠올리며 해병대의 강인함만을 기대했다면 작중 해병대처럼 완주하겠다는 전의를 상실할게 될지도 모릅니다.
《퍼시픽》의 장점은 전작이 추구하려했던 전쟁의 참상과 무의미한 인명살상 그리고 평화지향의 주제를 뛰어넘어 아비규환 속에서 정신이 피폐해져가는 군인들의 인간성이 말살되어 가는 과정을 여과 없이 드러내려 하는 동시에 그동안 한발 비켜서있던 ‘PTSD‘에 대한 집요한 조명에 있습니다. 아마도 이 부분에서 전작에 비해 후한 평가를 내린 시청자들도 더러 있겠습니다.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外傷後 - 障礙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PTSD > 신체적인 손상과 생명의 위협을 받은 사고에서 심적외상을 받은 뒤에 나타나는 질환이다. PTSD, 충격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증후군,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트라우마라고도 한다. 주로 일상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건에서 벗어난 사건들, 이를테면 천재지변, 화재, 전쟁, 신체적 폭행, 고문, 강간, 성폭행, 인질사건, 소아 학대, 자동차, 비행기, 기차, 선박 등에 의한 사고, 그 밖의 대형사고 등을 겪은 뒤에 발생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개인에 따라 다른데, 충격 후 즉시 시작될 수도 있고 수일, 수주, 수개월 또는 수년이 지나고 나서도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어야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하고, 증상이 한달 안에 일어나고 지속 기간이 3개월 미만일 경우에는 급성 스트레스 장애에 속한다. 'traumatic' 의 영문 번역이 '정신적 외상의'이므로, 정확한 번역은 '정신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정신적'이라는 단어가 빠진 것으로 인해 자칫 육체적 외상 후 발생하는 질병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
다만 아쉬운 것은 전투장면으로의 전환이 곧 암울한 분위기의 지배를 의미하는 것이라서 환기를 위해 전시공채나 연애담이 포함된 분량을 대거 삽입한 느낌이 강해 정작 전투 자체는 뭉뚱그려져 묘사됨으로써 스토리 전개 자체가 세련되지 못하고 전쟁물에 대한 만족감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하는 데 있습니다.
전작이 스토리, 영상, 음악의 3박자를 두루 갖춘 완벽한 하모니를 이룬 작품이라고 한다면 《퍼시픽》은 스토리부분에 많은 점수를 줄 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HBO 작품이 영화를 능가하는 시리즈 제작으로 각광받는 이유를 여실히 증명한 사례가 되겠습니다. FIN.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HBO < Home Box Office > 미국의 프리미엄 영화채널로서, 1972년부터 운영하는 미국의 케이블 TV 민영방송이다. |
다른 작품에 대한 감성 리뷰도 확인해 보세요 !!!
'드 라 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매일 그를 훔쳐본다' 이웃집 꽃미남 < 2013 > (0) | 2019.09.11 |
---|---|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 2012 > (0) | 2019.08.28 |
'밴드 오브 브라더스 후속작' 퍼시픽 < The Pacific , 2010 > (0) | 2019.07.18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Band of Brothers , 2001 > (0) | 2019.07.13 |
'맛을 잇다' 오센 < おせん , 2008 > (0) | 2019.07.07 |
노부타 프로듀스 < 野ブタ。をプロデュース , 2005 > (0) | 2019.07.02 |

★자리의 감성 리뷰 미국 드라마 TV-Serise 부문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Band of Brothers , 2001 ) 원문 : ★자리의 달콤한 꿈 이야기 글 : 별자리 | 이미지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Band of Brothers , 2001 ) |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는 2차 세계 대전에 있었던 실화를 바탕으로 미국 HBO에서 2001년에 제작한 10부작 미니시리즈이며 원저는 스티븐 앰브로즈의 동명 저서이고 스티븐 스필버그와 톰 행크스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습니다. 내용은 실제 중대원들의 증언과 기록을 바탕으로 미국 육군 제101공수사단 제506낙하산보병연대 제2대대 E중대의 초기 훈련부터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등을 거쳐 마지막으로는 히틀러 별장인 독수리 둥지(Eagle's Nest) 점령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케이블 방송사에서 방영하였고, 공중파에서는 MBC가 2004년 10월 17일부터 12월 19일까지, EBS에서 2013년 2월 25일부터 4월 29일까지 방영하였습니다.
|
제 목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2001 년 ) |
원 제 | Band of Brothers |
원 작 | 소설 《밴드 오브 브라더스》 - 스테판 E. 앰브로스 |
분 류 | 드라마 ( 미국 ) |
편 성 | HBO | BBC |
장 르 | 전쟁 | 역사 | 시대극 |
연 출 | 데이빗 프란켈 | 톰 행크스 | 데이빗 르랜드 | 리차드 론크레인 | 데이빗 너터 | 필 알든 로빈슨 | 미카엘 살로먼 | 토니 토 |
극 본 | 에릭 젠드레슨 | 톰 행크스 | 존 오를로프 | 부르스 C. 맥케나 | E. 맥스 프라이 | 그레이엄 요스트 | 에릭 보르크 |
구 분 | TV - Serise |
총화수 | 70 분 (평균) × 10 부작 |
제작국 | 미합중국 ( United States of America ) |
방영일 | 2001' 09. 09 ~ 2001' 11. 04 |
등 급 | 15 세 이상 관람가 |
사이트 |
|
세계 2차대전 전문역사학자 스티븐 앰브로스의 소설 '밴드오브브라더스'를 원작으로, 세계 2차대전 당시 프랑스 노르망디에 상륙한 연합군 '이지(Easy)' 중대(제 101사단 506연대 2대대) 대원들의 활약을 담은 오랜시간에 걸친 인터뷰와 각종자료들로 제작된 영웅들의 이야기
관련 및 연계 홈페이지 링크 | |
■ NAVER 책 '밴드 오브 브라더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전쟁 소설. 2차 세계대전의 막바지에 일어난 치열한 전쟁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
|
STAFF | |||
데이빗 프랭클 ( David Frankel ) 연출
영화감독 나는 사랑과 시간과 죽음을 만났다 ( 2016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 2006 ) | 톰 행크스 ( Tom Hanks ) 연출, 극본
영화배우, 영화감독 데뷔 : 1980년 영화 '어둠의 방랑자’ 캘리포니아 타이프라이터 ( 2019 ) 라이언 일병 구하기 ( 1998 ) | ||
데이비드 르랜드 ( David Leland ) 연출
영화감독 버진 테리토리 ( 2007 ) 랜드 걸즈 ( 1998 ) | 리차드 론크레인 ( Richard Loncraine ) 연출
영화감독 해피 댄싱 ( 2017 ) 특별한 관계 ( 2011 ) | ||
데이빗 너터 ( David Nutter ) 연출
영화감독, PD 왕좌의 게임 5 ( 2015 ) 안투라지 시즌 7 ( 2010 ) | 필 알덴 로빈슨 ( Phil Alden Robinson ) 연출
영화감독, 시나리오작가 줄리엣, 네이키드 ( 2018 ) 꿈의 구장 ( 1989 ) | ||
미카엘 살로먼 ( Mikael Salomon ) 연출
촬영감독 빅 드라이버 ( 2014 ) 하드 레인 ( 1998 ) | 토니 토 ( Tony To ) 연출
영화감독, PD 태평양 ( 2010 ) 하우스 ( 2006 ) | ||
에릭 젠드레슨 ( Erik Jendresen ) 극본
작가 이타카 ( 2015 ) 빅뱅 ( 2011 ) | 존 오를로프 ( John Orloff ) 극본
각본가 위대한 비밀 ( 2011 ) 가디언의 전설 ( 2010 ) | ||
E. 맥스 프라이 ( E. Max Frye ) 극본
각본가 폭스캐처 ( 2014 ) 팔메토 ( 1998 ) | 그레이엄 요스트 ( Graham Yost ) 극본
시나리오작가 라스트 캐슬 ( 2002 ) 하드 레인 ( 1998 ) | ||
브루스 C. 맥케나 ( Bruce C. McKenna ) 극본
저술가 Accident Proof Your Life ( 2014 ) The Pena Files: One Man's War Against Federal Corruption and the Abuse of Power ( 1996 ) | 故 스테판 E. 앰브로스 ( Stephen E. Ambrose ) 원작
작가 대륙횡단철도 ( 2003 ) War Stories: Remembering World War II ( 2002 ) |
출 연 진 ( CAST ) | ||||||
데미안 루이스 ( Damian Lewis ) 리처드 윈터스 소령 역
영화배우 빌리언스 시즌 4 ( 2019 ) 홈랜드 시즌 4 ( 2014 ) | ||||||
펜실베니아 랭커스터 출신. 이지중대 2소대장에서 출발, 종전무렵에는 소령으로 진급, 506연대 2대대장을 맡게 되는 사실상의 주인공. 1941년 대학을 졸업하고 군에 입대, 신병훈련기간 중 엉뚱한 소총에 대해 한시간 동안 교육하는 장교를 보고 스스로 장교가 되기로 결심, 장교 훈련과정 중 공수부대에 매료, 지원을 결심하고 1942년 조지아 주 캠프 토코아에 이지 중대 소대장으로 부임. | ||||||
론 리빙스턴 ( Ron Livingston , Ronald Joseph Livingston ) 루이스 닉슨 대위 역
영화배우 데뷔 : 1992년 영화 '사랑의 카운셀러' 수상한 교수 ( 2019 ) 섹스 앤 더 시티 시즌 5 ( 2002 ) | ||||||
뉴욕출신,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난 덕분에 예일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세계 여러나라를 여행할 수 있었음. 대학졸업후 장교 후보생으로 지원, 임관후 헌병대에 잠시 근무하다가 공수부대에 지원해서 토코아 기지의 이지 중대에 소위로 합류. | ||||||
매슈 세틀 ( Matthew Settle ) 로널드 스피어스 대위 역
영화배우 Valentine ( 2017 ) 가십걸 ( 2007 ~ 2012 ) | ||||||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출신이지만 미국 포틀랜드에서 성장. 고등학교 때 받은 군사훈련을 계기로 장교가 되기로 결심. 임관후 보병사단에 배치되었으나 바로 공수부대에 지원. 1942년 D중대 소대장으로 506연대에 합류했으며 1944년 12월 바스토뉴 방어전 때부터 이지중대 중대장으로 종전때까지 근무 | ||||||
데이빗 쉼머 ( David Schwimmer ) 허버트 소블 대위 역
영화배우 데뷔 : 1989년 TV영화 'A Deadly Silence’ 피드 더 비스트 ( 2016 ) 프렌즈 시즌 10 ( 2003 ~ 2004 ) | ||||||
시카고 출신, 임관 후 교관요원으로 군사학교에서 근무했으며 주방위군과 캔자스 주 포트 라일리의 헌병대에서도 잠시 근무. 이후 예비역으로 있다가 1940년 진주만 공습 1년 전, 현역으로 복귀. 토코아 기지의 이지중대 창설요원이 되었고 이후 중대장에 임명되었음. | ||||||
릭 워든 ( Rick Warden , Richard George Warden ) 해리 웰시 중위 역
영화배우 데뷔 : 1995년 TV영화 'Loved Up' 분노의 추격자 ( 2015 ) 로마 1 ( 2005 ) | ||||||
펜실베니아 윌크스배러 출신, 1942년 4월 공수부대에 지원, 82 공수사단에 입대했으며 뛰어난 지도력을 보여 병장까지 진급했으나 불같은 성격 때문에 이등병으로 강등된 경력이 있음. 이후 장교후보생으로 지원, 임관후 같은 부대에 재배치 않는 원칙에 따라 다른 공수사단인 101 공수사단 이지중대에 1943년 5월 소위로 합류. | ||||||
닐 맥도프 ( Neal McDonough ) 린 콤프턴 중위 역
영화배우 슈츠 시즌 6 ( 2016 ~ 2017 ) 애로우 4 ( 2015 ~ 2016 ) | ||||||
LA출신, UCLA대학에서 미식 축구와 야구 선수로 활약, 장교로 임관한 후 조지아 주 포트 베닝의 미 육군 훈련소에서 강하 훈련과정을 수료한 후 1943년 12월 영국 올드본(Aldbourne)에서 소위로 이지 중대에 합류. | ||||||
도니 월버그 ( Donnie Wahlberg ) 카우드 립턴 소위 역
영화배우, 가수 데뷔 : 1986년 뉴키즈 온 더 블록 1집 앨범 ‘New Kids On The Block’ 블루 블러드 시즌 8 ( 2017 ~ 2018 ) 킬 포인트 ( 2007 ) | ||||||
웨스트버지니아 헌팅턴 출신, 10살 때 성공한 사업가였던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어렵게 성장. 잡지에 실린 공수부대 관련 기사를 보고 입대하려 했으나 공장장의 허락을 얻지 못했고 그가 다니던 공장 역시 주요 전시산업공장이서 입대가 쉽지 않았음. 결국 전에 함께 일해던 상관의 도움을 얻어 어렵게 입대, 공수부대에 지원했으며 1942년 여름 토코아 기지에서 공수 기본 훈련을 받고 있던 이지 중대에 합류. 이후 이지 중대 사병들의 실질적인 리더가 됨. | ||||||
로스 맥콜 ( Ross McCall ) 조지프 리브갓 5등병 역
영화배우 데뷔 : 1990년 드라마 '지킬 앤 하이드' 화이트 칼라 6 ( 2014 ) 크래쉬 시즌 2 ( 2009 ) | ||||||
샌프란시스코 출신, 유태계라 유태인 문제만 나오면 민감한 반응을 보임. 입대전에는 택시를 몰았으며 1942년 공수부대에 지원 입대, 토코아 기지의 이지중대에 합류. 독일어에 능통, 이지중대의 통역 전담요원이었음. | ||||||
프랭크 존 휴즈 ( Frank John Hughes ) 윌리엄 가니어 하사 역
영화배우 24 시즌 8 ( 2010 ) LAX ( 2004 ~ 2005 ) | ||||||
남 필라델피아 출신, 10형제중 막내로 태어났으며 15살 때 군인이 되는 것이 먹고 자는 것은 물론 빈곤한 가정을 탈출하는 길이라고 생각한 어머니의 권유로 시민 훈련병 프로그램에 응모, 3년의 훈련과정을 거쳤으나 미국이 2차대전에 참전하면서 프로그램이 폐지된 후 공수부대에 자원, 1942년 토코아기지의 이지 중대에 합류 | ||||||
스콧 그림즈 ( Scott Grimes , Scott Richard Grimes ) 도널드 멀라키 중사 역
영화배우 오빌 ( 2017 ) 로빈 후드 ( 2010 ) | ||||||
오리건주 아스토리아 출신, 고등학교를 졸업 후 2년동안 공장에서 일한 후 1941년 가을 오리건 대학 입학. 진주만 공습이후 미국이 참전하면서 해병대에 지원했으나 치아문제로 입대 실패, 공군(당시는 육군항공대)에도 지원했으나 역시 실패, 1942년 징병되자 공수부대에 지원, 토코아 기지의 이지중대에 합류. | ||||||
릭 고메즈 ( Rick Gomez , Richard Harper Gomez ) 조지 러즈 4등병 역
영화배우 데뷔 : 1990년 영화 '닌자 거북이' 더 크로싱 ( 2018 ) 큐피드 ( 2009 ) | ||||||
로드 아일랜드 출신, 1소대 통신병이었으며 나중에는 중대 보급계도 담당, 이지 중대의 무드 메이커로 상관들을 흉내내는 성대모사가 탁월, 1942년 공수 부대에 지원했고 토코아기지에서 이지 중대에 합류. | ||||||
에이온 바일리 ( Eion Bailey , Eion Francis Hamilton Bailey ) 데이비드 캐년 웹스터 이병 역
영화배우 데뷔 : 1997년 드라마 '뱀파이어 해결사' 익스토션 ( 2017 ) 원스 어폰 어 타임 1 ( 2011 ) | ||||||
뉴욕 출신, 하버드 대학 1학년을 마치고 1942년 공수부대에 자원 입대. 전공은 영문학. 애국심과 전쟁을 직접 경험해 보고 싶다는 작가적 열망이 합쳐진 심정으로 군에 입대한 후 506연대의 일원으로 토코아 기지에서 기본 훈련을 마쳤으나 이 때는 이지 중대가 아니라 2대대 대대본부 소속이었음. 노르망디 강하 직후 부상, 영국으로 후송되었으며 이지 중대가 짧은 휴식 후 프랑스로 다시 돌아 갈 때부터 이지 중대에 합류. 제 8회 <마지막 정찰>의 실질적인 주인공 | ||||||
제임스 마디오 ( James Madio ) 프랭크 퍼콘테 4등병 역
영화배우 데뷔 : 1991년 영화 '후크' 스타노 ( 2019 ) 저지 보이즈 ( 2014 ) | ||||||
일리노이주 졸리엣 출신, 토코아 기지의 이지중대 창설요원으로 합류한 몇 안되는 일등병들 중 하나임. | ||||||
마이클 커들리츠 ( Michael Cudlitz ) 덴버 '황소' 랜들먼 중사 역
영화배우 데뷔 : 1989년 영화 '크리스탈 볼' 워킹 데드 7 ( 2016 ~ 2017 ) 로스트 시즌 4 ( 2008 ) | ||||||
아칸사스 주 출신. 입대전에는 농사를 지었으며 1042년 공수부대 지원 토코아 기지의 이지중대에 합류. | ||||||
덱스터 플레처 ( Dexter Fletcher ) 존 마틴 하사 역
영화배우, 영화감독 데뷔 : 1976년 영화 '벅시 말론' 로켓맨 ( 2019 ) 호텔 바빌론 4 ( 2009 ) | ||||||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출신, 고교 졸업후 캘리포니아에서 건설현장일을 했고 이후 아버지와 함게 오하이오에서 철도관런 일에 종사. 1942년 8월 징병된 후 전투병이 되고 싶어 공수부대에 지원, 토코아기지의 이지 중대에 합류. | ||||||
쉐인 테일러 ( Shane Taylor ) 유진 로 5등병 역
영화배우 데뷔 : 1997년 드라마 'Where the Heart Is' 아우라 ( 2018 ) 썬즈 오브 리버티 ( 2015 ) | ||||||
루이지애나 바이유쉐네 출신, 공수부대에 지원할 때 의료경험이 전혀 없었으면서도 이지 중대 세명의 의무병 중 한명으로 보직을 받았음. 토코아 기지에서 기본훈련을 이수한 고참 멤버. 제6회 <바스토뉴>에서 주인공으로 등장. | ||||||
데일 다이 ( Dale Dye ) 로버트 싱크 대령 역
영화배우 레인지 15 ( 2016 ) 블루 ( 2014 ) | ||||||
캐롤라이나 주 렉싱턴 출신, 듀크대학에 잠시 다니다 웨스포인트에 입학 1927년 졸업. 소위로 임관후 1940년까지 보병장교로 근무. 이후 공수부대에 지원해서 포트 베닝의 501공수대대와 503공수연대에서 근무했으며 506공수연대가 창설되면서 연대장에 임명되어 부대 창설과 구성, 훈련을 모두 책임졌음. 우수한 지휘로 부대원들의 존경을 받아 506연대를 FIVE-O-SIX 가 아닌 FIVE-OH-SINK라고 부를 정도였음.
※ 봅 싱크 대령을 연기한 배우 <데일 다이>는 원래 미군 예비역 장교로 할리우드에서 전쟁영화를 촬영할 때 군사문제에 관한 조언을 해주는 일종의 군 관련 전문가 일을 하다가 배우로 전업했음 / 월남전을 다룬 <플래툰>의 중대장역, <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미육군 참모총장 마샬 원수의 보좌관으로 출연 . | ||||||
커크 에이스베도 ( Kirk Acevedo ) 조지프 토이 하사 역
영화배우 12 몽키즈 시즌 4 ( 2018 ) 프린지 3 ( 2010 ~ 2011 ) | ||||||
펜실베니아 출신, 일본군의 진주만 공습 직후 육군에 입대. 보병훈련을 마치고 1942년 초 워싱턴시에 있는 부대에 배치되었으나 더 높은 봉급과 함께 엘리트 부대라는 점에 이끌려 공수부대에 자원, 1942년 토코아 기지의 이지중대로 합류 | ||||||
마크 워렌 ( Marc Warren ) 앨버트 블라이스 이병 역
영화배우 데뷔 : 1995년 영화 '보스턴 킥아웃' 스내치 ( 2017 ) 굿 와이프 4 ( 2012 ~ 2013 ) | ||||||
- |
|
회 차 | 부 제 ( SUBTITLE ) / 에피소드 ( EPISODE ) | |||
01. 제 1 화 | 커래히 ( Currahee : 101 공수사단의 부대구호 / 홀로 버틴다는 뜻 ) | |||
제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로 치닫던 때.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시작되기 몇 시간 전 연합군은 노르망디 해변을 지키는 독일군 후방에 미 제101, 82공수사단을 투입하려 한다. 이중 101 공수사단 506연대 이지 중대는 1942년부터 조지아 주 토코아에서 창설되어 상륙작전 직전까지 괴팍한 중대장 소벨 대위의 지휘 아래 혹독한 훈련을 거친다. | ||||
02. 제 2 화 | Day Of Days ( 디 데이 ) | |||
드디어 노르망디에 강하한 이지중대 대원들. 하지만 대공포탄과 강풍으로 중대원들은 강하지점에서 사방 으로 흩어지고 중대장은 행방불명된다. 윈터스 중위는 남은 열두명의 중대원들을 이끌고 독일군 포대를 공격해 20명을 사살하고 포대를 무력화 시키는 전공을 세운다. | ||||
03. 제 3 화 | CARENTAN ( 카랭탕 / 노르망디 해안에 있는 작은 도시 지명 ) | |||
강하 후 이틀, 여전히 많은 병사들이 부대를 찾지 못하고 노르망디를 헤매고 있다. 이지 중대 1소대원 불라이드 일병도 이틀을 혼자 지낸 후 중대에 합류하는데 때마침 이지 중대는 해변가의 교통요충지 카랑탕을 점령하려 한다. 해변에 상륙한 연합군 탱크들이 내륙으로 진격하기 위해서는 이 작은 마을 카랑탕을 반드시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미군은 카랑탕을 점령하려 하고 독일군 역시 필사적인 방어전을 펼치려 한다. 마침내 카랑탕으로 진격한 이지 중대는 치열한 전투에 휘말리고..... | ||||
04. 제 4 화 | Replacements ( 보충병 ) | |||
작전을 계속할수록 늘어나는 손실을 메우기 위해 보충병들이 투입된다. 신병들은 여러 번 작전을 수행한 고참과 불편한 관계에 놓이지만 그럭 저럭 고참들과 함께 전장의 낯선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 하지만 신병들의 사망률은 높다. 한편 네덜란드를 통해 독일로 진격하려던 연합군은 노르망디보다 더 큰 규모의 공수작전 마켓 가든 작전을 게획하고 네덜란드 아인트호펜에 강하한 101 사단 역시 큰 손실을 입으며 작전에 참가한다. 진격하던 이지 중대 역시 독일군 기갑부대와 맞닥뜨리고 어쩔 수 없이 후퇴한다. 그러나 후퇴하던 중 중대 고참병 중 하나인 린들먼 병장이 낙오, 독일군 점령지에 홀로 남게 된다. | ||||
05. 제 5 화 | Crossroads ( 교차로 ) | |||
1944년 10월 5일 네덜란드 네이메겐 근처에서 벌어진 소규모전투에서 이지중대는 독일군 SS 2개 중대와 마주친다. 병력에서 우세한 독일군을 맞이해 윈터스 대위는 1개 소대를 이끌고 기습, 적을 격멸하고 많은 포로를 사로잡는다. 잠깐 동안의 휴식을 갖게 된 이지 중대. 그러나 독일군의 대규모 반격전인 발지전투가 시작되고 이동명령을 받은 이지 중대는 충분한 탄약과 방한장비도 없이 벨기에의 바스통으로 향한다. | ||||
06. 제 6 화 | Bastogne ( 바스통 ) | |||
전략 요충지인 벨기에의 작은 마을 바스통을 방어하게 된101 공수 사단은 사방에서 밀려오는 독일군에 완전히 포위당한다. 보급도 끊기고 의약품도 부족한 상황에서 이지중대의 의무병 유진 로는 부상자들을 살리기 위해 분주히 뛰어다닌다. 101사단은 혹한과 보급부족, 끊임없는 독일군의 공세에 시달리지만 1944년 크리스마스까지 끈질기게 버틴 끝에 바스통을 사수한다. | ||||
07. 제 7 화 | The Breaking Point ( 전환점 ) | |||
대대장에 임명된 윈터스대위가 이지중대를 떠난 뒤 중대 일등상사인 립튼은 중대원들의 사기와 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그러나 윈터스의 후임 중대장 다이크 중위는 승진만을 노리고 있을 뿐, 매사 소극적이고 안일하게 처신한다. 중대원들의 불만은 높아가고 독일군의 공세에 고참병들이 계속 부상한다. 반격작전이 있던 날 비겁한 다이크 중위는 이지 중대를 위기에 빠뜨리고 격분한 윈터스 대위는 도그 중대의 용감한 장교 스피어스 중위를 전투중에 중대장으로 새로 임명한다. | ||||
08. 제 8 화 | Last Patrol ( 마지막 정찰 ) | |||
이지중대의 창설 멤버이자 노르망디 전투를 치른 웹스터. 가장 힘들었던 바스통 전투를 앞두고 부상을 당한 그는 병원에 후송되었다 몇개월 후 돌아오지만 전우 대부분이 사라진 상태. 계속되는 전투로 중대원들의 사기는 바닥에 떨어져 있고 낯선 얼굴들만 있는 중대에 오게 된 웹스터 일병은 마음이 심란하다. 이런 웹스터와 함께 웨스트포인트를 갓 졸업하고 임관한 존스 소위가 2소대에 배치받는데 연대장의 명령으로 이지 중대는 야간 정찰을 나가 포로를 잡아와야 하는 임무를 부여 받는다. | ||||
09. 제 9 화 | Why We Fight ( 우리가 싸우는 이유 ) | |||
전쟁의 막바지, 이지 중대는 드디어 독일영토로 진격하는데 주둔지 정찰을 나갔던 중대원들은 유태인 강제 수용소를 발견하고 나치의 잔학상에 치를 떤다. | ||||
10. 최 종 화 | Points ( 전역점수 ) | |||
독일군이 앞다투어 항복하기 시작한 전쟁 막바지, 윈터스 소령이 이끄는 506연대 2대대는 히틀러의 별장이 있던 베르히테스가덴을 향해 진격한다. 그곳에서 나치 고위간부가 남긴 수많은 전리품을 챙기게 된 이지 중대. 유럽의 전투는 끝났지만 태평양에서는 전투가 아직 계속 되고 있다. 집으로 돌아 가고 싶어 하는 이지 중대원들, 그러나 이들이 집으로 돌아 가기 위해선 전투에서의 공로와 부상 여부를 합산한 전역 점수가 필요하다. 이 점수를 쌓아 나가는 동안 중대원들은 사고로 죽거나 다친다. |
|
|
이 글은 헤살과 주관적인 견해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드리며 모든 포스팅은 개개인의 시각차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해석과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하고, 현재 기록된 정보는 2019년 07월 기준임을 알립니다.
분할된 사진에 한해 클릭하면 확대되며 또 다른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와 함께 합니다. 혹 하단 링크 이미지에 문제가 발생하면 'F5' 를 눌러 새로 고침해주세요. 또한 이 블로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최적화 되어 있어 모바일을 포함한 다른 플랫폼에서는 화면 상태가 고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는 에미상 9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어 ‘미니시리즈 최우수 작품상(Outstanding Miniseries)’을 포함한 6개 부문과 2002년 골든글로브상 TV 미니시리즈 부분 최우수 작품상과 AFI(American Film Institute) TV 영화/미니시리즈 부분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였으며, ‘자유를 지키기 위해 싸운 자들을 위한 새로운 헌정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피바디 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6번째 에피소드인 '바스통' 은 2003 미국 각본가 연맹상(Writers Guild of America Awards 2003)의 텔레비전용 장편 부문을 수상하였습니다.
전쟁의 참상을 가장 사실적으로 극화한 드라마
미국 역사상 최고의 전쟁 드라마, 본격 미드 입문 교과서로 잘 알려진 《밴드 오브 브라더스》는 각 에피소드마다 전쟁영화를 방불케 할 정도로 작품의 수준이 높습니다. HBO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우리는 함께 서 있다(We Stand Alone Togehter)」와 본편에 삽입된 인터뷰 영상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현존했던 생존자들의 편지와 기고문을 비롯한 각종 자료와 수 시간에 걸친 인터뷰를 기반으로 집필된 동명의 소설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님과 톰 행크스 배우 겸 감독님이 미니시리즈화하면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3년의 제작기간 동안 500여명의 출연자와 10,000명의 엑스트라를 투입한 대작으로 복장과 세트 등의 사실적인 재현에 1억 2천만불(1,500억)의 제작비를 투자하여 《라이언 일병 구하기》를 능가하는 사실적인 전투 장면으로 화제가 되었으며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지의 현지촬영과 군사자문을 통해 완성도를 높임으로써 2차 세계대전 막바지까지 치열했던 전쟁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주된 내용은 1942년 8월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 주 캠프 클레어본에서 101공수사단이 창설되어 조지아주 토코아 캠프에서 공수 훈련을 받고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일 새벽 프랑스 영토에 강하를 시작으로 마켓가든 작전, 벌지전투 등 유럽의 전장을 누비며 독일과 오스트리아에 이르기까지 진군을 거듭하다 종전을 맞게 되는 미 육군 제 101공수사단, 506공수보병연대, 제2대대, 이지중대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150%의 사상률을 기록한 이 용감한 중대원들이 어떻게 추위와 배고픔을 이겨내며 싸웠으며, 또 어떻게 죽어갔는지를 보여주려 했던 원작자 앰브로스 작가님의 고민과 아울러 생존자들의 심적 고통과 가슴의 한을 이 영상을 통해 변함없이 묵직하게 전하려 하고 있습니다.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HBO < Home Box Office > 미국의 프리미엄 영화채널로서, 1972년부터 운영하는 미국의 케이블 TV 민영방송이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 < Saving Private Ryan > 제2차 세계대전의 대표적인 격전인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주제로 1998년 미국에서 제작한 전쟁 영화이다. 감독은 스티븐 스필버그, 제작에 이언 브라이스, 마크 고든, 게리 레빈슨이 참여했다. 각본은 로버트 로댓이 작성했다. 주연으로 톰 행크스, 맷 데이먼 등의 유명 배우들이 연기했으며, 상영 시간은 약 170분이다. 총 제작비 6,500만 달러가 투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 World War II >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다. 통상적으로 전쟁이 시작된 때는 1939년 9월 1일 새벽 4시 45분 아돌프 히틀러가 다스리는 나치 독일군이 폴란드의 서쪽 국경을 침공하고, 소련군이 1939년 9월 17일 폴란드의 동쪽 국경을 침공한 때로 본다. 그러나, 또 다른 편에서는 1937년 7월 7일 일본 제국의 중화민국 침략, 1939년 3월 나치 독일군의 프라하 진주 등을 개전일로 보기도 한다. 1945년 8월 6일과 8월 9일, 일본 제국 히로시마 시와 나가사키 시에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 이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무조건 항복하면서 사실상 끝이 났으며, 일본 제국이 항복 문서에 서명한 9월 2일에 공식적으로 끝났다. 이 결과로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식민지로 남아 있던 지역들이 독립하거나 모국으로 복귀하고, 그 외에도 여러 제국들의 식민지가 독립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사자는 약 2,500만 명이고, 민간인 희생자도 약 3천만 명에 달했다. 2차 대전 발발전, 일본 제국은 1937년 중국 침략 때 난징 등에서 대학살을 감행하여 겁탈과 방화를 일삼으며 수십만 명의 난징 시민을 무자비하게 살해하였고, 전쟁 기간 중 포로 학살 등 여러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또한 나치 독일은 ‘인종 청소’라는 이유로 수백만 명 이상의 유대인과 롬인를 학살하였다. 미국은 1945년 3월 10일 일본의 수도 도쿄와 그 주변 수도권 일대를 소이탄으로 대규모로 폭격한 이른바 도쿄 대공습을 감행해 민간인 15만 명을 살상했고, 같은 해 8월 6일과 9일에 각각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 공격을 감행하여 약 34만 명을 살상하였고, 영국 공군과 미국 육군항공대는 드레스덴 폭격과 뮌헨 공습을 감행하여 각각 20여만 명을 살상하는 등, 전쟁과는 상관없는 민간인들의 피해도 매우 심했었다. 전쟁은 크게 서부 전선, 동부 유럽 전선과 태평양 전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아프리카,중동, 대서양 해역과 인도양 해역 등에서 벌어진 기타 하위 전선도 2차 대전의 전역에 포함된다. 제101공수사단 / 제101공중강습사단 < 101 Airborne Divison / 101st Air Assault Division > 미국 육군의 2개 공수사단으로, 공중강습부대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당시, 수송기에서 직접 강하하는 낙하산보병부대였고, 종전 이후 미국 육군의 개편 과정에서 공중강습부대로 전환되었다. 특수부대가 아닌 일반 정규군 부대로 분류된다. 캠프 토코아 < Camp Toccoa >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설치되었던 미국 육군의 낙하산 보병을 양성하기 위한 훈련 캠프였다. 캠프 토코아의 원래 이름은 남북 전쟁 당시 아메리카 연합국(=남부군)의 장군이었던 로버트 툼스(Robert A. Toombs)의 이름을 따서 '캠프 로버트 툼스'였다. 1938년에 계획되고 1940년에 1월 17일부터까지 12월 14일까지 조지아주 토코아, 스테판스 카운티 서쪽 5 마일(8 km) 지점에 공공사업진흥국과 조지아 육군 방위군에 의해 건설되었다. 커레히 산은 남서쪽으로 4마일 거리에 있다. 제101공수사단의 501과 506, 제2공수보병여단(이후의 제1보병사단, 2여단)의 제507, 제11공수사단의 511, 독립부대인 517로 총 5개의 낙하산보병연대(Parachute Infantry Regiment (PIR))가 입주하였다. 강하훈련은 C-39와 C-47로 강하 훈련을 시행하였다. 1946년 폐쇄되었으며, 낙하산 강하에 관련된 모든 훈련시설은 포트 베닝으로 옮겨졌다. |
전쟁의 본질에 대한 회의
《밴드 오브 브라더스》는 전쟁물이지만 공수부대 지원동기에서도 잘 드러나듯 과잉된 애국심을 강요하는 불편함은 없습니다. 또한 미국의 예외주의나 미국의 편향성을 우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하며 설정오류가 간혹 보이긴 하나 의미 없는 죽음이 애국심으로 포장되거나 미군의 반인륜적 행위를 옹호 또는 묵인하려는 시도는 보이지 않습니다. 전반적으로 평화지향의 기조 속에 패전으로 사기는 꺾였으되 군기는 여전했던 독일군을 절대악이나 오합지졸로 묘사하지 않았으며 군대의 비품처럼 관리되는 병사들이나 죽음의 허망함 등 유쾌할 리 없고 비관적인 주제들을 내포함과 동시에 오히려 종전 후에도 계속되는 의미 없는 죽음을 통해 전쟁의 본질 자체에 대한 회의를 나타냅니다.
사실 화려한 전투장면을 기대하는 조급함도 없지 않았으나 영상 속 생존자들의 인터뷰를 보며 숭고한 희생이 뒤따랐을 그 화려함에 잠깐의 도취도 허락되지 않았으며 대신 노르망디(Normandie)와 네덜란드 에인트호번(Eindhoven) 전역에 떨어진 낙하산 물결이 하늘을 뒤덮는 장면으로 만족해했습니다. 하지만 실망하지 않았던 건 그런 화려한 영상미가 돋보일 연출이 충분히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철저히 시점변환을 통해 극도의 긴장감과 두려움을 고조시키고 때론 사상자의 모습을 그대로 노출시키며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병사들의 공포와 심리적, 정신적 고통을 중점적으로 묘사해가면서 그 본질에 한층 더 다가서려 했음을 간파하게 됩니다. 몇몇 에피소드에서는 그것을 더욱 공고히 했고 보조를 맞추기 위해 카메라가 크게 흔들리기도 했지만 촬영세트와 촬영기법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크게 일조한 것만은 틀림이 없습니다.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노르망디 < Normandie > 프랑스의 북서부에 자리잡은 프로뱅스로 바스노르망디와 오트노르망디로 나뉜다. 채널 제도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노르망디의 일부였다. 에인트호번 < Eindhoven > 네덜란드 남부 노르트브라반트주의 도시이다. 인구는 419,045명(2014년)이다. |
리더십과 전우애
이 작품을 통해 가장 많이 거론되었던 것이 리더십에 관한 화두였을 것입니다. 실제로 작중에서 무능한 장교로 분류되는 허버트 소블(David Schwimmer 분) 대위, 노먼 다이크(Peter O'Meara 분) 중위와 유능한 장교로 분류되는 리처드 윈터스(Damian Lewis 분) 소령, 로널드 스피어스(Matthew Settle 분) 대위가 군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지켜보는 것도 이 작품의 묘미입니다. 물론 부족한 결정력과 전략전술의 부재가 군 전투력 훼손을 야기하는 가장 큰 원인이랄 수 있지만 훌륭한 리더가 되기 위한 조건에는 부하들을 얼마나 이해하고 대변할 수 있는지의 척도가 되는 공감능력과 누굴 대신하지 않고 언제나 앞장설 수 있는 솔선수범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언급도 빼놓지 않아 다행이라 생각됩니다. 능력을 갖추었으나 현장에서 통용되지 않는 장교는 결국 무능한 것과 진배없기 때문입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에서 전투를 앞둔 헨리 5세의 대사는 아쟁쿠르(Azincourt)와 백년전쟁을 논하면서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구절로, 제목 《밴드 오브 브라더스》는 "We few, We happy few, We band of brothers"라는 말에서 유래했으며 직역하자면 '형제와 같은 유대' 또는 '형제들', 의미상으론 전우(戰友)를 뜻한다고 합니다.
강한 유대와 끈끈한 전우애가 발현되는 것은 단순히 입대동기로 동일한 훈련을 수료해서가 아니라 생사고락을 함께한 전우들끼리 계급을 떠나 서로에 대한 믿음과 존경이 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또한 유능한 적보다 위험한 건 무능한 아군인 것처럼 개인이 아닌 동료의 역할과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더 대단한 것은 “해야만 하는 일이었기 때문에 했을 뿐”이라고 덤덤히 말하는 생존자들의 증언과 영웅들과 함께 싸웠을 뿐이라고 겸손해하는 그들의 태도에 숙연해 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노르망디상륙작전 < Normandy Invasion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이 개시한 가장 큰 규모의 상륙 작전으로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이 프랑스 북부 해안인 노르망디 지역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연합군은 오버로드 작전의 일부였으며, 노르망디 상륙이 성공적으로 이뤄진 이후 연합군은 노르망디에 교두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연합군은 미국, 영국, 캐나다, 자유 프랑스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폴란드 서부군,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 그리스, 네덜란드의 파견군이 연합군의 육상 전역에 참여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공군 지원 및 노르웨이 해군의 지원도 있었다. 1944년 6월 6일 밤 공수부대가 노르망디에 투입되고, 공군의 대규모 폭격, 해군의 지원 사격 이후 개시되었다. 작전 초기 소드 해변, 주노 해변, 골드 해변, 오마하 해변, 유타 해변에서 상륙 작전이 개시되었다. 미군은 오마하와 유타 해변에 투입되었고, 영국군은 소드 해변과 골드 해변에 작전을 개시했으며 캐나다군이 주노 해변에 상륙되었다. 저녁이 되자 남아있던 공수부대가 노르망디 지역에 상륙하면서 상륙 작전은 완료되었다. 마켓 가든 작전 < Operation Market Garden > 1944년 9월 17일부터 9월 25일까지 네덜란드 및 독일에서 수행된 제2차 세계 대전의 군사 작전이다. 연합군의 공수부대와 육상 병력은 네덜란드의 도시였던 에인트호번과 네이메헌을 점령하는데 성공했으나 아른험과 그 교외에서 거점을 지키는데 실패해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라인강의 교량을 확보하는데 실패했다. 작전은 마켓이라 불리는 교량을 점령하는 공수부대의 공격과 가든이라 불리는 육상 공격 작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45년 바시티 작전이 더 많은 항공기와 글라이더가 투입되었고, 노르망디 상륙이 병력 면에서 우세했지만, 마켓가든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많은 공수부대가 투입된 작전이었다. 버나드 몽고메리의 전략적 목표는 독일 산업시설의 핵심을 포위하여 루르 지역을 주요 이동축으로 삼고자 했다. 이동축의 북쪽 끝은 지크프리트 방어선의 북단을 피해갈 수 있었다. 이런 방식이라면 독일 내부로 진입하는데 큰 장애물이 없어질 수 있었다. 마켓 가든 작전의 목표는 독일의 종심을 향해 진격하기 위한 발판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연합군은 북쪽의 벨기에에서 97km 떨어진 네덜란드로 진격해 아른험 북쪽을 확보하여 이동축에 가까워지는 것이 목표였다. 작전 당시 수많은 공수부대가 투입되었다. 이들의 주요 목표는 교량을 확보해 기갑부대가 신속하게 아른험 북쪽으로 진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다. 작전은 뫼즈 강의 여러 교량들과 발 강과 네데리힌의 교량, 그리고 여러 운하들과 지류들을 점령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연합군은 에인트호번과 네이메헌 사이의 여러 교량들을 작전 초기에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브라이언 호록스의 제30군단은 초기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공격이 지연되었다. 제101공수사단은 손과 네이메겐의 교량을 점령하려 했으나 독일군이 이미 폭발시킨 이후였다. 제82공수사단도 9월 20일까지 네이메겐에 위치한 발 강 다리의 주요 도로를 확보하는데 실패하여 제30군단의 공격을 지연시켰다. 공수부대의 최북단 강하지점인 아른험에서 영국 제1공수사단은 초기에 강력한 저항을 받았다. 손과 네이메헌의 교량 점령 지연은 제9SS기갑사단과 제10SS기갑사단을 비롯한 여러 독일군이 재조직하고 반격하는 시간을 벌어주었다. 아른험 전투에서 소규모 공수부대만이 아른험 육고를 점령하는데 성공했고, 육상 병력은 이들을 구출하는데 실패해 9월 21일 공수부대원들은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1공수사단의 잔존 병력자들은 교량 서쪽에서 포위되어 9월 25일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연합군은 라인강을 도하하는데 실패했다. 라인강은 레마겐, 오펜하임에서의 공세와 플런더 작전이 수행되는 1945년 3월까지 독일군의 방벽이 되어주었다. 벌지 전투 < Battle of the Bulge > 제2차 세계 대전 서부전선에서 독일군 최후의 대반격에 대해 연합군이 붙인 이름이다. 벌지(Bulge)는 영어로 '주머니'라는 뜻이다. 독일군의 진격에 의해 전선의 일부가 돌출된 것을 가리켜 미군이 붙여준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영화 《벌지 대전투》 공개이후 동명칭이 제일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독일군은 작전명 ‘라인을 수호하라(Unternehmen ”Wacht am Rhein”)’의 아래에서 대공세를 펼쳤다. 대반격은 서부전역사령부(Oberbefehlshaber West)이었던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원수에 의해 입안된 것으로 룬트슈테트 공세( Rundstedt-Offensive) 혹은 지명에서 유래된 아르덴 공세(Ardennenoffensive)로 불리기도 한다. 제506보병연대, Easy 중대 < Easy Company, 506th Infantry Regiment >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전선에 배치된 미국 육군 제101공수사단, 제506낙하산보병연대, 2대대 예하 중대였다. 이 중대는 스티븐 앰브로즈의 책 《밴드 오브 브라더스》을 바탕으로 제작된 HBO/BBC에서 방영된 미니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로 잘 알려져 있다. 영국 출판사 제네시스 퍼블리케이션은 Men of Easy Company 재단과 협력하여 한정판 사진집을 출판하였으며, 한번도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사진과 문서들이 포함되어 있다. 1942년부터 1945년 11월 Easy 중대는 제506낙하산보병연대가 해산할때까지 활동했었으며, 1954년 연대가 훈련 부대로서 재소집되어 재차 활동을 시작하였는데, 1952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음성 문자가 도입된 이후에는 Echo(에코)로 읽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지금의 E 중대는 Easy가 Echo 중대이며 같은 부대가 아니게 되었다. 아쟁쿠르 전투 < Azincourt >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의 전투 중 하나로 1415년 10월 25일 금요일[4] 북부 프랑스의 아쟁쿠르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헨리 5세(Henry V)는 프랑스 측에 막대한 손실을 입히면서 승리하였고, 이 전투 이후 헨리 5세가 프랑스의 공주와 결혼하면서 그의 아들 헨리 6세가 프랑스의 왕위 계승권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나중에 프랑스는 헨리 6세의 왕위 계승권을 무시하였다). 영국군의 총지휘관은 헨리 5세였고, 그는 근접전에도 직접 참여하였다. 당시 프랑스의 샤를 6세 (Charles VI of France)의 건강이 좋지 못했기 때문에 프랑스군의 지휘권은 대무관장 샤를 달브레(Charles d'Albret)와 다수의 아르마냐크(Armagnac) 지방 출신의 고위 귀족들이 가지고 있었다. 이 전투는 영국 장궁(English Longbow)이 사용된 유명한 전투들 중의 하나이며, 헨리 5세는 다수의 장궁병으로 영국군을 구성하였다. 또한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연극 헨리 5세(Henry V)의 유명한 구절인 성 크리스핀의 날의 연설 (St. Crispin's Day Speech)도 이 전투와 관련이 있다. 백년 전쟁 < 百年戰爭 , the Hundred Years' War > 1337년에서 1453년 사이에 잉글랜드 왕국의 플랜태저넷 가와 프랑스 왕국의 발루아 가 사이에 프랑스 왕위 계승 문제를 놓고 일어난 일련의 분쟁들을 총체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다. 플랜태저넷 가와 발루아 가 양측 모두 여러 동맹자들을 전쟁에 끌어들였다. 중세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전쟁 중 하나로, 서유럽에서 가장 넓은 땅의 왕위를 두고 두 왕조가 5대 116년에 걸쳐 싸운 장대한 전쟁이다. 기사의 최고 전성기이자 동시에 기사계급의 쇠퇴가 시작된 시기이며, 잉글랜드와 프랑스 양국 모두 전쟁으로 인해 강고한 국민정체성이 싹트게 되었다. 1066년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 이래로 잉글랜드 국왕은 프랑스 땅에 보유한 영지에 대하여 프랑스 국왕의 명목상 제후였다. 프랑스의 역대 국왕들은 수 백년에 걸쳐 잉글랜드 국왕의 영지를 빼앗아 왔으며, 백년전쟁 당시 즈음에는 잉글랜드 국왕이 실효지배하던 땅은 가스코뉴 정도밖에 없었다. 프랑스 입장에서 이 땅을 흡수하여 잉글랜드 세력을 유럽 대륙에서 완전히 축출하려 시도하는 것은 곧 잉글랜드의 국력을 시험해 보는 것이었고, 잉글랜드가 프랑스의 동맹국 스코틀랜드와 전쟁 중일 때면 언제나 그 시도를 실행으로 옮기려 했다.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의 어머니는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의 딸 이사벨라로,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 카페 본가의 마지막 왕인 샤를 4세와 숙질관계였다. 1316년 프랑스에 살리카법이 도입되면서 여성의 왕위 계승이 금지되었다. 1328년 샤를 4세가 죽자 여성으로서 프랑스 왕위를 요구할 수 없게 된 이사벨라는 대신 자기 아들 에드워드의 왕위 계승을 주장했다. 프랑스 측에서는 이사벨라가 자신에게 애초에 주어지지 않은 왕위계승권을 그 아들에게 양도할 수 없다는 근거로 그 주장을 무시했다. 이후 9년간(1328년-1337년) 잉글랜드 왕가는 카페 가의 방계인 발루아 가가 프랑스 왕위를 계승하는 것을 용인했다. 그러나 발루아 가의 초대 왕 필리프 6세가 에드워드 3세와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2세 사이의 전쟁에 개입하면서 에드워드 3세는 다시 프랑스 왕위를 요구하게 되었고 잉글랜드와 프랑스 사이에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잉글랜드는 크레시, 푸아티에, 아쟁쿠르 등지에서 연전연승하며 전쟁에서 이기는 듯 했다. 그러나 프랑스 국왕이 동원할 수 있는 국력 자체가 잉글랜드를 능가했기에 잉글랜드는 프랑스를 완전히 정복할 수 없었다. 프랑스는 1429년부터 반격을 시작해 오를레앙, 파타이, 포흐미늬, 카스티용에서 결정적 승리들을 거두면서 전쟁은 프랑스의 우세로 끝났고 잉글랜드 왕가는 유럽 대륙의 영지 대부분을 영구히 상실했다. |
끝으로 101공수사단은 미 육군 역사상 가장 명성과 공적이 높은 정예사단으로 당시 ‘울부짖는 독수리(Screaming Eagles)’라는 별명을 갖고 있던 이 사단은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D-day에만 40% 수준의 병력을 잃었지만 후방을 교란시키고 교두보를 미리 확보하면서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그들의 용맹을 알리기 시작했고 독일에 패한 마켓가든 작전에서는 지리상의 이점과 풍부한 실전 경험으로 맡은 바 임무를 완수하였으며 벌지 전투에서는 막대한 피해를 입으면서도 결국 바스토뉴를 사수해 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FIN.
관련 정보 ( 출 처 : 위키백과 ) 바스토뉴 < Bastogne > 12월 19일 연합군 상급지휘관들은 베르됭요새의 지하기지에서 회의를 가졌다. 아이젠하워는 패튼에게 제 3군을 북부에 대한 반격에 나서게 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패튼은 48시간 안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실제 패튼은 회의에 출석하기 전 부하에게 북부에 대한 반격을 준비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아이젠하워가 물었을 때 이미 그 일은 진행되고 있었다. 12월 21일 코콧트 장군의 제 26국민척탄병사단을 주력으로 한 독일군은 연합국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제일 먼저 도착하여 전주방위진지를 구축하여, 미육군 제 101 공정사단 및 제 10기갑사단의 일부가 수비하던 바스토뉴를 완전히 포위했다. 수비대의 책임자였던 제 101 공정사단장 대리 안소니 맥컬리프준장은 독일군의 항복권고에 대해 “NUTS!”라고 답하고 부관이 그 말을 그대로 편지에 적어서 공식회답으로 독일군에게 보낸 유명한 일화가 있다.(당시 사단장 맥스웰 D 테일러장군은 회의 때문에 부대를 떠났었고, 사단장대리인 맥컬리프준장이 지휘를 맡고 있었다) 독일군은 몇 군데 개별지점에 대해 순차적으로 공격을 집중했다. 이것은 방어측에게 공격이 격퇴되면 끊이지 않고 증원을 보내 이를 강화했으나, 한편으론 독일군의 병력수의 이점이 사라져 버리게 되었다. 결국 독일군은 조기 바스토뉴 공략은 실패했고, 귀중한 며칠을 낭비하여 바스토뉴를 포위한 채 서쪽으로 진격해야만 했다. 남은 부대는 그 후 몇 차례 바스토뉴에 대한 공격에 나섰으나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했다. |
다른 작품에 대한 감성 리뷰도 확인해 보세요 !!!
'드 라 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 2012 > (0) | 2019.08.28 |
---|---|
'밴드 오브 브라더스 후속작' 퍼시픽 < The Pacific , 2010 > (0) | 2019.07.18 |
밴드 오브 브라더스 < Band of Brothers , 2001 > (0) | 2019.07.13 |
'맛을 잇다' 오센 < おせん , 2008 > (0) | 2019.07.07 |
노부타 프로듀스 < 野ブタ。をプロデュース , 2005 > (0) | 2019.07.02 |
프라이스리스 - 있을리 없잖아, 그런거! < PRICELESS - あるわけねぇだろ、んなもん! , 2012 > (0) | 2019.06.24 |

전투요정 유키카제( 戦闘妖精・雪風 <센토우요우세이・유키카제>)는 일본의 소설가 칸바야시 쵸헤이의 과학 소설 및, 애니메이션 프로덕션 곤조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말한다. 총 5편의 OVA가 발매되었다. JAM이라 불리는 이종 지성체와의 전쟁을 통해 인간과 JAM과 인간이 만든 기계의 싸움과 그 갈등을 묘사한 이야기이다. 잡지 'SF매거진'에서 1979년부터 1983년까지 연재된 연작 단편으로, 1984년에 '전투요정 유키카제'라는 제목으로 문고판으로 엮였다. 1992년부터 동 잡지에 단편적으로 속편을 연재하기 시작했으며, 속편은 1999년 하드커버 단행본 '굿럭 전투요정 유키카제'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이후 2001년에 '굿럭 전투요정 유키카제'의 문고판이 출간되었으며, 2002년에는 '전투요정 유키카제<개(改)>'라는 제목으로 본편 '전투요정 유키카제'의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이 개정판은 2007년 12월에 대원씨아이에서 한국어판 1권이 출간됨을 시작으로 2008년 11월 현재 총 3권이 발매되어 있다. 1985년 성운상 일본부문 장편 수상작. 2000년에는 '굿럭 전투요정 유키카제'가 마찬가지로 성운상을 수상하였다.
몇십 년 후의 근미래, JAM이라 불리는 미지의 외계 세력이 남극에 갑자기 나타난 차원 통로를 통해 지구를 침략했다. UN은 방위군을 조직해 외계 세력을 막고 그들을 '페어리'라 불리는 차원 통로 반대편의 행성으로 몰아 넣는 데 성공했으며, 인류는 페어리에 기지를 건설하고 페어리 공군을 창설하여 상주하면서 JAM에 맞서게 되었다. 설립 초기의 FAF(Fairy Air Force. 페어리 공군)은 각국의 엘리트로 구성된 초국가적 정예 단체였으나, 전쟁이 소모전으로 변해감에 따라 재원의 손실을 우려한 각국은 범죄자들 중 재능있는 자들을 선발. 훈련을 거쳐 FAF으로서 복역하게 하여 점차적으로 형무소 별관이나 다름없는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이 페어리 공군에서도 특별한 성격을 띤 특수전대(SAF)가 있었는데, 이들은 최첨단의 인공지능과 중화기로 무장한 정보 수집기에 탑승하여 출전하되 '설령 아군이 격추당하더라도 참전하지 말고, 오로지 적의 정보를 수집하여 반드시 귀환하는' 것을 임무로 삼고 있다. 이에 소속된 3번기(SAF-V-05003) 퍼스널 네임 '유키카제' 의 파일럿인 주인공 후카이 레이 소위는 오직 자신이 조종하는 유키카제만을 신용하고, 그 외의 모든 것을 자신과는 관계 없는 것으로서 거부하며 나날이 계속되는 비정한 임무를 수행한다.
OVA < Original Video Animation , 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 > TV 방송이나 영화 상영없이 오로지 소매로 파는 애니메이션을 뜻한다. OVA들은 VHS로 판매하지만 최근엔 DVD로도 많이 나온다.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DVD로 판매된다. 같은 의미의 단어로 OAV(Original Animated Video)와 OAD(Original Anime DVD)가 있다.
논픽션 < Non-fiction > 픽션이 아닌 것, 즉 사람이 상상해 창조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다큐멘터리, 실화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 또는 소설 등이 대표적인 논픽션에 속한다. 논픽션의 작가는 스스로가 자신이 알거나 믿는 사실을 바탕으로 작품을 만들지만, 작가가 믿는 것과 현실과의 차이, 또는 잘못 알고 있던 사실로 말미암아 그 내용이 실제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삼국지 정사'와 '도몬 후유지의 소설' 등이 논픽션에 해당된다.
성운상 < 세이운상 , 星雲賞 > 일본의 문학상으로, 그 전 해에 발표되거나 완결지어진 SF작품을 수상 대상으로 한다. 1962년부터 펼쳐진 일본SF대회(convention)의 부수적 행사로서 1970년 제정되었으며, 대회의 참가자 투표에 의해 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성운상'이라는 이름은 1954년에 간행된 일본 최초의 SF잡지라 불리는 '성운'(출판사와의 트러블로 창간호 이후 폐간)에서 유래되었다. 상에는 '일본 장편 부문'(1970), '일본 단편 부문'(1970), '해외 장편 부문'(1970), '해외 단편 부문'(1970), '미디어 부문'(1970년/제10회까지는 '영화연극 부문'), '코믹 부문'(1978), '아트 부문'(1979), '논픽션 부문'(1985) 및 '자유부문'(2002년의 개정으로 추가)이 있으며, 집계 및 수상은 일본SF팬클럽 연합회의가 행한다. 처음에는 소설과 영화/연극에만 주어졌으나, 이후 미디어, 만화(코믹), 아트(일러스트 등) 등이 추가되었다. 부상의 선정은 해당 연도의 일본SF대회 실행위원회가 담당한다. 매번 취향이 반영된 부상이 주어진다. 대한민국 국민으로는 만화칼럼니스트 선정우가 2005년에 자유 부문을 공동 수상한 것이 유일하다. 주식회사 곤조 < 株式会社ゴンゾ , GONZO >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다. 1992년에 가이낙스를 퇴사한 무라하마 쇼지, 마에다 마히로, 야마구치 히로시, 히구치 신지가 함께 설립했다. 지주 회사인 주식회사 GDH(Gonzo Digimation Holdings)를 중심으로 다방면의 컨텐츠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사명(社名)은 히구치의 발안으로, 이탈리아어의「바보」를 의미하는「gonzo」에서 약싹빠르게 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붙여진 것. 2004년 4월 30일에는 제3자 해당증자에 의해 후지 텔레비전이 GDH의 주식 약 10 퍼센트를 취득해 애니메이션 영화 공동 제작을 맡게 되었다. 2004년 사무라이7, 암굴왕 등의 작품 이후 뚜렷한 흥행작을 만들어내지 못하자 2005년이후로는 작품의 방향성과 곤조의 정체성도 흔들리기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다 결국 2006년 하반기에 재정이 적자로 전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특히 곤조의 그간의 작품 성향을 그대로 이어받았다고 볼 수 있는 펌프킨 시저스(2006)가 시장에서 참패한 것은 상당한 충격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이며 이후 곤조의 수많은 새로운 시도들 중 아프로 사무라이와 위치 블레이드가 서구권에서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자 데드 컬즈, The Five Killers와 같은 기존의 노선과는 전혀 다른 서구적인 작풍으로 제작 방향을 선회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The Five Killers는 제작이 취소되었다. 한편 5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로자리오와 뱀파이어, 스트라이크 위치즈 등으로 미소녀 계열의 작품을 제작하기도 하였고 상당한 호평과 함께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으나 2009년 작품 《사키 ~Saki~》 제작 도중 상장 폐지 등으로 인한 자금난을 이유로 《사키》의 제작 권한이 픽쳐매직으로 이전되었으며 곤조 5 스튜디오는 제작 지원으로 물러났다. S-F 매거진 < S-Fマガジン > 일본의 하야카와쇼보(早川書房)가 발행중인 SF 전문 월간지이다. 매달 25일 발매하며, 보통은 S와 F 사이의 하이픈을 빼고 《SF 매거진》이라고 표기된다. 1959년 12월, 미국의 SF와 판타지의 전문지 「판타지 앤드 사이언스 픽션」잡지와 제휴하여 창간되었다. 후쿠시마 마사미가 초대 편집장을 지냈고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걸친 일본 SF의 황금기를 일궈내는 원동력이 되었다. 대원씨아이㈜ < 大元 C.I.(株) , DAEWON C. I. Inc. > 대한민국의 대표 만화출판 기업이다. 애니메이션 뮤직 비디오 < Anime Music Video >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합성 편집한 뮤직 비디오를 일컫는다. 대부분의 경우 AMV라 부른다. AMV는 메이커와 대리점에 의해서 공식으로 발매된 것이 아닌, 애니메이션 팬 활동의 일환으로 제작되어 애니메이션 컨벤션과 애니메이션 클럽에서 상영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에 배포되기도 한다. AMV를 제작, 감상하는 사람들은 주로 일본외 해외 애니메이션 팬들이다. 일본에서는 오히려, 이러한 언더그라운드 활동을 매드무비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소수정도 일본인 AMV 제작가도 AnimeMusicVideo.org에서 활동하고 있다. 영상과 음악을 허락을 받지 않고 사용해서 유튜브등 사회적으로 알려져 있는 배포 사이트에 AMV가 게재되면, 법적인 문제 때문에 메이커가 적극적인 삭제 의뢰를 사이트 측에 제출하고 있다. AMV의 세계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인 AnimeMusicVideo.org은 등록 유저가 563,266 명, 등록 비디오 수는 약 10만 본 및 작품 평론을 포함 데이터베이스가 있으며, 활발한 정보 교환이 이뤄지고 있다. (2006년 7월 기준) YouTube의 보급에 의해 AnimeMusicVideo.org에 참가하지 않는 쪽도 증가하고 있다. 단거리탄도유도탄 < SRBM :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 사거리 1000 km 이하인 탄도유도탄을 말한다. 3000 km는 중거리 5500 km는 장거리 5500 km 초과는 대륙간으로 부른다. 전파 방해 장치 < Jammer , 電波妨害裝置 > 통신 또는 레이더 체계의 사용을 방해, 제한 또는 격하시키는 데 쓰이는 장치. 무선 주파수 전파 방해 장치는 광대역, 잡음, 불연속 주파수 반복기 그리고 기만 장비를 포함한다.
이 글은 헤살과 주관적인 견해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드리며 모든 포스팅은 개개인의 시각차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해석과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하고, 현재 기록된 정보의 정확도는 2016년 04월 기준입니다. 물론 이후에는 여러 사정에 의해 변경되었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최적화 되어 있고 모든 이미지는 클릭하면 확대되며 이 포스트는 ‘네이버 블로그’와 함께 합니다.
기계와 인간, 그리고 전쟁 함축적으로 요약하기에 좋은 문장이 있어 발췌해보자면 「인류는 JAM과의 수십여 년에 걸친 싸움에도 불구하고 그 정체, 목적,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고 JAM 또한 인간대신 컴퓨터나 기계를 적으로 인식하는 듯한 행동을 취하는 기괴한 상황을 통해 SF의 오랜 테마 중 하나인 인식론에 대한 메시지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소통이 불가능한 적과의 고독한 싸움이라는 테마는 밀리터리 SF의 고전인 ’영원한 전쟁‘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는 내용입니다. 물론 3편에서부터 JAM은 인간을 적으로 인식하고 전략을 수정하기에 이르렀고 ’영원한 전쟁‘또한 베트남 전쟁을 반영했기 때문에 전쟁에 대한 시각과 메시지가 조금 다른 부분이 있으나 인간의 고독한 싸움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특수전대의 역할은 정보수집행동에 있지만 후카이 중위의 비중이 큰 이유는 자신의 생명보다 ‘유키카제’라는 전투지성체를 더 신뢰하는 그의 기이한 행동에서 발현되었습니다. 적이라고 인지된 상황에선 전혀 망설임이 없는 그의 행동이 아군의 피해를 속출시켜 작전에서 배제되기도 하지만 결과적으론 JAM의 복제전략을 간파하고 FAF의 전군 철수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됩니다. 복합 생명체, 기계와 인간, 전혀 이질적인 존재끼리 서로를 인지하며 고도로 융합된 새로운 생명체의 모습으로 JAM 본대와의 마지막 일전을 치르는 후카이 중위와 유키카제는 인간이 홀로는 맞설 수 없을 것 같던 JAM의 마지막 도발을 무력화시키고 전쟁을 종결시킵니다.
인간애와 인간의 욕망 처음 만났을 때 콩하고 복숭아를 비벼먹는 나쁜 식사법을 가진 녀석이라는 생각에 자신의 부대에 배속되지 않길 바랐던 부커 소령은 특수전대에 배속되기 전 항명 3회와 불복종 7회의 화려한 경력에도 불구하고 후카이 소위에게 애착을 갖습니다. 3번기가 사막에서 불시착 했을 당시에도 포기하지 않던 소령의 인간애는 FAF 전군 철수 도중에 명확히 들어납니다. 무수히 사출된 JAM의 한 복판에 중위를 보내야 하는 그의 무거운 마음에도 흔들림 없는 후카이 중위가 야속했을까요? 후카이 중위를 잃고 싶지 않은 그의 마음이 스크린 너머로까지 또렷하게 전달됩니다.
JAM이라 불리는 이성체가 만들어낸 지구침략 초공간 통로가 남극에 생기면서 남극 방위는 인류 공동명제가 되었지만 JAM과 인류의 전쟁은 지구인들에게 닥쳐온 위험보다 정쟁의 도구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로 그럴 것이 처음부터 JAM과 인간의 구도가 아닌 단지 실험체에 대한 TEST를 행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JAM의 기술력과 자원에 대한 연구목적으로 희생을 무릅쓰고 이런 소모전을 계속해왔던 것입니다. 공익을 위해 혹은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이 당연시되는 인간의 비뚤어진 욕망을 빗댄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화려한 전투신 2002년 하반기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SF 대작으로, BANDAI Emotion 창립 20주년 기념작이기도 합니다. 회사설립 초창기부터 3D에 관심을 보였던 GONZO가 그간 축적해 온 노하우를 집약하여 이전의 작품인 ‘청의 6호’, ‘반드레드’ 등에서 보여줬던 환상적인 컴퓨터 그래픽기술을 적용, 평단의 찬사를 받았습니다. 이례적으로 일본 항공자위대의 협조를 얻어 모의 이륙체험 및 음향 효과 녹음이 이루어져 화제가 되기도 했던 작품으로 워너 브라더스가 2013년에 톰 크루즈 주연의 헐리우드 영화를 제작한다고 밝힌 바 있어 자료를 검색해 보았지만 영화화에 대한 진행사항은 전무했습니다.
흔히 사용되는 군사용어들이 친밀감을 더해주는 가운데 발매 당시의 수준급 그래픽기술은 현재의 작품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화려하고 웅장합니다. 탁월한 가속성능과 지속 선회율, missile break 기동과 같은 본체의 기본성능은 물론이고 에어쇼를 방불케할만한 아찔한 곡예비행은 타깃의 격추와 회피라는 동작을 통해 긴장감을 고조시킵니다. 특히나 B3 퍼스널 네임 유키카제를 원호하는 특수전기들의 비상과 Banshee라 불리는 공격항모, 시스템 군단의 신병기들이 흥을 돋웁니다.
작품의 이해 33년 전의 갑작스런 총격으로 그들의 존재를 발견하고 UN은 FAF라는 단체를 창설합니다. 인간은 전략정찰군단의 관측으로 JAM 기지를 확인하고 이곳을 강습해 폭격으로 견제하는 것이 기본전략이고 이에 맞선 JAM은 전혀 별개의 거점에서 출현해 인간군을 배후에서 급습하는 패턴으로 전황은 일진일퇴의 교착상태에 빠져있어 손쓸 방도가 없습니다. 인간은 JAM에 대항하기 위해 최첨단 기술력과 신병기들을 투입하지만 연달아 JAM측에서 복제해 가고 있고 인간까지 복제하는 그들의 전략에 맞서 역으로 내부로 끌어들여 JAM을 간파하려는 위험한 전략을 승인합니다.
수많은 인명과 자원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B3가 수집한 JAM의 정보를 지구에 넘기기 위해 애쓰는 군 수뇌부와 후카이 중위와 유키카제라는 복합생명체를 지구로 돌려보내지 않겠다는 JAM의 사활이 걸린 이 싸움은 명목상 가상데이터를 미끼로 던진 FAF의 승리로 막을 내리는 듯하지만, 이 전쟁의 진짜 승자는 누구일까요? 기계인지 생명체인지조차 모호한 미지의 적과 싸우면서 멋진 항공 배틀신에만 중점을 두지 않고 기계와 인간, 그리고 전쟁이라는 것에 대해 비교적 진지하게 다룰 예정이라던 GONZO의 본래의 목적이 스토리에 잘 녹아들어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 저도 RTB를 송신할 때가 되었습니다.
|
'애 니 | 웹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범한 일상에서 시작되는 이야기' 클라나드 1기 < CLANNAD , 2007 > (0) | 2018.07.25 |
---|---|
'조조신화' 창천항로 < 蒼天航路 , 2009 > (2) | 2018.07.11 |
킹덤 2 기 < キングダム , 2013 > (0) | 2018.06.21 |
킹덤 1 기 < キングダム , 2012 > (0) | 2018.06.17 |
[리뷰] 전투요정 유키카제 < 戦闘妖精・雪風 , 2002 > (0) | 2016.05.30 |
[리뷰] 오다 노부나의 야망 < 織田信奈の野望 , 2012 > (2) | 2016.05.08 |
오다 노부나의 야망 (織田信奈の野望)은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작가는 카스가 미카게, 삽화는 미야마 제로가 맡았다. 제목의 유래는 동명의 게임인 노부나가의 야망에서 비롯되었다. GA문고에서 2009년 8월 발매된 것을 시작으로, 10권이 나온 이후, 만 1년만인 2014년 3월에 레이블을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로 바꾸어 '오다 노부나의 야망 전국판'으로 11권부터 출간하게 되었으며 기존의 1~10권도 신장판을 발매하게 되었다. 평소 오다 노부나가의 야망을 즐겨하는 고등학생 사가라 요시하루가 어느 날 전국시대로 타임슬립하게 된다. 그런데 요시하루가 날아간 곳은 오다 노부나를 비롯한 전국시대 무장들이 여성화되어 있는 세계! 오다 노부나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려는 사가라 요시하루의 이야기를 다루는 대체역사물이다.
평범한 고등학생인 사가라 요시하루는 갑자기 400년 전의 일본으로 타임슬립해 버린다. 그리고 그곳은 유혈이 낭자한 전쟁터! 얼떨결에 오다 노부나가가 아닌 ‘오다 노부나’의 가신이 된 요시하루는 노부나의 야망을 실현 시키기 위해 전장에 몸을 던진다! 라이트 노벨 < ライトノベル > 일본의 서브컬처에서 태어난 소설 종류의 하나이다. 영어 단어 Light와 Novel을 조합한 일본어식 영어로서, 현재에는 영어권에서도 일본의 독자적인 소설 장르를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약어로 라노베(ラノベ), 라이노베(ライノベ) 라노벨등으로 불리며, 드물지만 경문학(輕文学)이나 경소설(輕小説)로 표기되기도 한다.
일본의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사회적, 정치적 변동 및 계속되는 내란의 시기이다. 한자어를 음차한 전국 시대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1493년의 메이오 정변 또는 1467년의 오닌의 난에서 시작하여 1573년에 무로마치 막부 제 15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에서 추방되어 무로마치 막부가 무너질 때 까지의 시대를 가리킨다. 무로마치 시대 말기, 혹은 오다 노부나가의 상락(1568년) 이후 오다 가문과 도요토미 가문이 정권을 잡은 시기를 쇼쿠호 시대(織豊時代) 또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라고 부르며 구분하기도 한다. 가신 < 家臣 > 한국에서는 부족국가시대에 왕이나 대가(大加)들이 가신을 두었는데, 고려의 무신(武臣)정권시대에 최충헌(崔忠獻)이 자기 집에서 나라의 정사(政事)를 맡아보고 있을 때, 임금의 신하와는 별도로 자기 집안에서만 일보는 부하를 거느리고 있었던 데서, 세력가 밑에서 일하는 사람을 일컫게 되었다.
일본의 전국 시대를 평정한 인물로,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를 연 무장이자 다이묘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더불어 중세 일본의 삼영걸로 불린다. 오와리 쿠니 다이묘였던 오다 노부히데의 장남으로, 아버지 대부터의 숙적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격파하고 정이대장군인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해 교토를 수중에 넣고, 그마저 추방해 무로마치 막부를 멸망시키면서 중부 일본 일대를 기반으로 중세 일본 봉건제의 정점에 섰다. 일본 각지역의 패자들을 차례차례 굴복시키면서 전국 시대의 일본을 평정해, 하극상이 계속되던 전국 시대 끝에 최초의 천하인이 됐다. 그러나 1582년(덴쇼 10년) 음력 6월 2일, 천하통일을 목전에 두고 중신 아케치 미쓰히데의 모반을 막지못해 혼노사에서 자살했다. 이미 형식상으로나마 가권은 장남 오다 노부타다에게 넘긴 상태였으나 장남마저 교토의 니죠 성에서 아케치 일당에게 살해당하면서 그의 후계는 또다른 중신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넘어갔고, 이런 일본 통일의 기반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여는 밑거름이 됐다. 그는 생애 내내 당시의 기득권을 부정하고 처음부터 무력으로 무너뜨렸고, 출신 성분과 관계없이 인재를 등용했으며 정책적으로도 낙시락좌( 楽市楽座 らくいち・らくざ : 일종의 상업진흥, 자유무역정책 ), 검지( 検地 けんち : 토지조사 ), 서양에의 문호 개방 등 봉건적 일본에서 누구도 시행하지 않았던 정책결단으로 문화 경제적 발전을 이뤄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를 열었다. 종교 정책에 있어서도 기존 불교와 신도 세력의 권위를 부정했고, 포르투갈 선교사들로부터 전해진 천주교 포교를 허용하고 자신도 잠시 관심을 가졌으나 결국 자신을 신격화 하는 데로 나아갔다. 당시 포르투갈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는 그를 "신이나 부처, 사후세계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교도이다. 스스로 서찰에서 제육천마왕이라고 칭했다"라고 기술한 바 있다.
매드하우스 < 株式会社マッドハウス | MADHOUSE Inc. >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이다. 설립일은 1972년 10월 17일에 무시 프로덕션 소속의 제작진들이 빠져나와 설립하였으며, 당시 주축 멤버로는 카와지리 요시아키, 린 타로, 데자키 오사무 등이 있다. Studio五組 스튜디오 5조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고쿠미"라 읽는다. 곤조의 도산후 산하의 제5스튜디오 프로듀서인 시바타 토모노리가 2010년 5월에 설립한 회사. 하렘물 < ハーレム > 한 남자가 많은 여자들에게 둘러싸여 사는, 또는 그들 사이에 일어나는 내용을 담은 만화, 애니메이션 등의 작품들을 일컫는 말이다. ‘하렘(حريم)’이란 이름은 이슬람에서 친척을 제외한 남자의 출입을 금하는 장소나 제도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한국어에선 일본어 ‘ハーレム’을 뉴욕 할렘가를 뜻한 것으로 오해되어 ‘할렘’으로 잘못 표기되기도 한다.
판타지 및 SF의 클리셰로, 어떤 사람 또는 어떤 집단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시간을 거슬러 과거 또는 미래에 떨어지는 일을 말한다. 사고에 가까운 초상현상이라는 점에서, 의도적으로 시간을 거스르는 타임머신을 이용한 시간여행과는 구분된다. 타임슬립 개념은 여러 사람들이 들고 나왔으나, 대개 19세기에 마크 트웨인이 쓴 《아서 왕 궁정의 코네티컷 양키》를 그 시초로 친다. 타임머신류와의 가장 큰 차이는 주인공은 시간을 뛰어넘는 일에 대한 제어능력이 없고, 또 그 과정을 이해할 수도 없다. 대개는 그 원리가 독자에게도 전혀 설명되지 않는다. 아동문학에서도 자주 나타나는 장치이다. 종자도총 < 種子島銃 | たねがしまじゅう | 타네가시마주 > 1543년에 포르투갈인들이 사쓰마 번 다네가 섬을 통해 처음 전래한 화승식 전장 소총이며 우리나라에선 조총이라 불렸다. 종자도총은 사무라이나 아시가루들이 사용했으며, 이 총의 사용은 일본의 전쟁 교리를 완전히 바꿔 버렸다. 군웅할거 < 群雄割據 > 오와리 국 < 尾張国 | おわりのくに | 미장국 > 일본 도카이도 서부에 있던 옛 구니이다. 현재의 아이치 현 서부에 해당한다. 첫 글자의 음독을 따 비슈(尾州, びしゅう)라고도 불렸다. 다이묘 < daimyo | 大名 ( 대명 ) >
오다 노부나의 야망 OST를 보유하고 있는 카페가 있어 아래에 링크를 걸어둡니다. 비회원에게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카페에 먼저 가입하셔야 다운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화 : 노부나와 사루 갑자기 전국 시대 전쟁터로 타임 슬립해 버린 고등학생 요시하루. 자신을 대신해서 탄환을 막아 준 것은 장차 일본의 장군이 될 도요토미 히데요시였다! 2화 : 오다 가문의 집안 싸움 3화 : 미노 동란 4화 : 풍운! 오케하자마! 5화 : 천재 군사 공략 6화 : 스노마타 일야성 7화 : 노부나 상락 8화 : 황금의 자유도시 사카이 9화 : 키요미즈사 공방 10화 : 노부나 절체절명
11화 : 카네가사키 퇴각전
이 글은 헤살과 주관적인 견해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드리며 모든 포스팅은 개개인의 시각차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해석과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하고, 현재 기록된 정보의 정확도는 2016년 04월 기준입니다. 물론 이후에는 여러 사정에 의해 변경되었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최적화 되어 있고 모든 이미지는 클릭하면 확대되며 이 포스트는 ‘네이버 블로그’와 함께 합니다.
쇼핑외의 포스트를 등록하는 것이 얼마만인지 모르겠습니다. 다시 원래의 목적으로 돌아온 것 같은 착각에 빠져 기쁜 마음으로 이 글을 시작합니다.
시나리오의 시작 때는 전국, 군웅할거 하던 무장들의 싸움은 그칠 줄 몰랐습니다. 내부분열이라도 일어나면 바로 타국의 먹잇감. 그래서 각 가문에 처음 태어난 아이가 성별의 구분 없이 집안을 잇는다는 결정 하에 탄생한 것이 여무장과 여 다이묘들인 것입니다. 이런 발칙한(?) 상상력에 약 400년 미래의 고등학생인 ‘사가라 요시하루(이후 사루)’가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타임슬립해 오는 과정을 더해 오다 노부나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오다 노부나가는 전략에 밝았으며 전투에서는 늘 강한 카리스마를 발휘했지만, 평상시에는 서민들과 잘 어울릴 정도로 소탈한 면도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자신이 통치하는 오와리 국의 비옥한 토지와 신흥 상인을 독려해 발달시킨 상업을 기반으로 경제적 토대를 확고히 함으로써 천하의 패권을 쥘 준비를 착실히 해나가다 통일 직전에 죽었지만 그가 이룬 업적이나 합리적이고 근대적인 사고 등으로 일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인물로서 인기가 높습니다. 그를 주제로 많은 작품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서 오다 노부나가를 향하는 일본인들의 꿈이 담겨있는 작품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자신의 힘으로 일본을 덮겠다는 그의 야망도 이룬 것이 아닐까요?
사나리오의 특징 에피소드 당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터라 개연성이나 설정부분이 미약하긴 하지만 덕분에 전개가 무척 빠르며 코미디요소를 적절히 가미한 인물의 표현 또한 역사적 근간과 크게 다르지 않게 묘사되었다는 부분엔 공감하지만 인물의 내적표현에 허술함이 있고 시나리오의 태동이 되는 사루와의 만남이 아무런 파장 없이 운명인 것처럼 반영된 부분엔 설득력이 지나치게 떨어져 몰입하는데 방해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등장인물 중 일부가 여성화되면서 실제 인물 외의 주변인물이 특정되어 성격에 반영되었고 제작진에서도 이 부분에 많은 고민을 한 흔적이 있는 듯도 합니다. 사루의 등장으로 포르투갈의 선교사 프로이스가 칭한 제육천마왕이라는 오다 노부나의 행적이 전국시대에 살아남기 위함이 아니라 오와리의 바보(몽상가)이자 탈일본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성공기를 그려야한다는 점도 이 작품을 감상하는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당시 많은 비판을 받았던 사루는 미래 상황을 예지하고 비판하는 역에서 미래 실현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는 구원자 역으로 변경되면서 자신의 역할을 잘 찾아 들어간 것 같습니다.
시나리오의 전개 오다 노부나의 가신으로 들어가 미소녀를 도와 천하를 노리자는 사루의 꿈은 유명 게임인 ‘태합 입지전’의 패러디인 ‘태합 입지전설’, 대항해시대‘ 패러디인 ’초신성항해‘등을 통하여 습득한 스킬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던져진 난관들을 헤쳐 나가며 운을 뗍니다. 미노와의 동맹이나 도카이도 활잡이라고 불리던 이마가와를 멸망시키는 등의 공적을 세우던 사루는 미래의 건축술을 바탕으로 이나마 산성 함락에 기여함으로써 전국시대의 유명인 으로 등극하며 많은 군웅들의 표적이 되고 지상최악의 철수전인 가네가사키의 퇴각전에서 큰 위험에 봉착하게 됩니다. 사루의 생사여부가 미래 노부나군의 존망과도 함께 할 것 같은 긴장감이 팽배한 가운데 사루의 등장은 노부나군을 회생시킵니다.
극중 발생하는 갈등의 봉합은 사루의 전매특허가 되었고 미래를 대처하는 과정에서의 일부는 역사적인 고증을 통한 에피소드를 실현시키기 위해 과장되거나 사루의 역할이 축소되었다고 하겠습니다. 의외로 고증에 대한 수준은 높은 편이며 사루 주위를 온통 미소녀들로 채우면서 볼거리를 늘렸다는 평에는 공감할 바 아닙니다. 엔딩장면에서 등장하는 다케다 기마대와 ‘다케다 신겐’의 출연으로 2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나 BD 판매량 저조로 기대에 그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오다 노부나의 야망 노부나의 빛을 위해 그림자를 마다않고 모두를 구해 보이겠다는 바보 같은 사루의 성품이 금공명 ‘타케나타 한베에’를 비롯한 노부나군의 마음을 얻게 됩니다. 사루의 이런 행적은 단지 노부나의 마음을 투과해내는 매개체역할을 담당했을 뿐이라는 느낌이 다소 강하게 들며, 이는 곧 소외된 자들의 희망과 꿈을 꾸는 자들의 이야기라는 포장을 위한 노부나의 힘을 대변한 것이 아닌가 짐작되게 합니다.
오다 노부나가에 대한 조사를 하면서 어떤 정치가의 삶을 투영해 봅니다. 우리 사회는 아직 미숙한 부분이 많습니다. 상하 수직적인 관계에서 수평적인 관계로의 전환점에 서 있는데도 그 기류를 읽지 못하고 많은 것들을 수직적인 관점에서 보려고 하니 세대 간 마찰과 분열이 조장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작품에서도 민중의 힘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이런 싸움을 종식시키기 위해 선전하는 노부나군의 모습이야말로 현재 우리가 보여주어야 하는 모습이 아닐런지요? 이외에 성우들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은 'ONNADA'사이트에서 성우를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애 니 | 웹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범한 일상에서 시작되는 이야기' 클라나드 1기 < CLANNAD , 2007 > (0) | 2018.07.25 |
---|---|
'조조신화' 창천항로 < 蒼天航路 , 2009 > (2) | 2018.07.11 |
킹덤 2 기 < キングダム , 2013 > (0) | 2018.06.21 |
킹덤 1 기 < キングダム , 2012 > (0) | 2018.06.17 |
[리뷰] 전투요정 유키카제 < 戦闘妖精・雪風 , 2002 > (0) | 2016.05.30 |
[리뷰] 오다 노부나의 야망 < 織田信奈の野望 , 2012 > (2) | 2016.05.08 |